濟世安民 bagtur khan

압강(鴨江)의 발원지와 천황학주의 성(天皇鶴柱之城) (수정된 내용) 본문

태조왕건과 삼한

압강(鴨江)의 발원지와 천황학주의 성(天皇鶴柱之城) (수정된 내용)

박지원( baghatur khan) 2023. 11. 16. 14:55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고려사 내용이다. 거란에서 고려국왕을 책봉하는 내용이다. 1097년의 기사이다.

 

고려시대 사료 DB

十二月 癸巳 遼遣耶律思齊·李湘, 來賜玉冊·圭印·冠冕·車輅·章服·鞍馬·匹叚等物. 冊曰, “朕以昊蒼眷祐, 祖宗貽範, 統臨天下, 四十有三載矣. 外康百姓, 內撫諸侯, 咸底于道. 而海隅立社, 北

db.history.go.kr

래는 위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원문과 번역이다.

十二月 癸巳 遼遣耶律思齊·李湘, 來賜玉冊·圭印·冠冕·車輅·章服·鞍馬·匹叚等物. 冊曰, “朕以昊蒼眷祐, 祖宗貽範, 統臨天下, 四十有三載矣. 外康百姓, 內撫諸侯, 咸底于道. 而海隅立社, 北抵龍泉, 西極鴨綠,
12월 계사 요(遼)에서 야율사제(耶律思齊)와 이상(李湘)을 파견하여 옥책(玉冊), 규(圭), 인(印), 관면(冠冕), 차로(車輅), 장복(章服), 안마(鞍馬), 필단(匹叚) 등의 물건을 보냈다. 책문(冊文)에서 말하기를,
“짐이 하늘에서 돌보아주심과 조종(祖宗)께서 남기신 규범으로 천하를 통치한 지 43년이 되었다. 밖으로는 백성을 편안히 하고 안으로는 제후를 어루만져 모두 바른 길로 가게 하였다. 〈고려는〉 바다 모퉁이에 사직을 세워 북쪽으로는 용천(龍泉)에 이르고 서쪽으로는 압록(鴨綠)에 닿았으며,

고려와 거란의 경계가 고려를 기준으로 서쪽은 압록(鴨綠)강에 이르고(極) 북쪽은 용천(龍泉)에 이른다(抵)고 거란의 황제가 직접 밝히고 있다(北抵龍泉, 西極鴨綠).

그런데 여기 거란의 황제가 지칭한 압록(鴨綠)은 압록강(鴨綠江) 전체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고 본다.

서해에서 압록강(鴨綠江)을 따라 올라가다가 지금의 북한 의주군까지의 구간을 지칭한다고 본다.

지금의 북한 의주군의 북쪽인 중국의 영토에는 압록강(鴨綠江)의 지류인 Aihe River(璦河 애하)가 있는데 고려에선 Aihe River(璦河 애하)를 압강(鴨江)으로 칭했다고 본다.

따라서 고려와 거란의 서쪽 경계는 압록강(鴨綠江)이지만 그 압록강(鴨綠江)은 압록강(鴨綠江) 전체가 아닌 서해에서 북한의 의주군까지의 압록강(鴨綠江)으로 한정된다고 본다.

아래는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고려사 세가 선종5년 9월에 대한 내용이다.(음력 1088년 9월 미상)

 

고려시대 사료 DB

九月 遣太僕少卿金先錫如遼, 乞罷榷場. 表曰, “三瀆靡從, 雖懼冒煩之非禮, 一方所願, 豈當緘黙以不言? 况昔者, 投匭上書, 萬姓悉通於窮告, 呌閽檛鼓, 四聰勿閡於登聞. 幸遭宸鑑之至公, 盍寫民

db.history.go.kr

래는 위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고려사 세가 선종5년 9월에 대한 원문 일부와 번역이다.

臣伏審承天皇太后, 臨朝稱制, 賜履劃封, 舞干俾格於舜文, 執玉甫叅於禹會. 獎憐臣節, 霑被睿恩. 自天皇鶴柱之城, 西收彼岸, 限日子鼈橋之水, 東割我疆.
엎드려 살펴보건대 승천황태후(承天皇太后)가 국정을 맡아 섭정할 때에 봉토를 나누어 내려 주었으니, 순(舜)의 문덕(文德)에 따라 방패를 들고 춤추듯[舞干] 하였고 우(禹)의 회합에 옥(玉)을 들고 참여한 듯하였습니다. 신하의 절개를 칭찬하여 황제의 은혜를 입게 해주었으니, 황학주(天皇鶴柱)의 성(城)으로부터 서쪽의 언덕까지 거두고 일자별교(日子鼈橋)의 물(水)로 한정하여 동쪽을 우리의 강토로 할애하였습니다.

이 내용은 거란이 각장(榷場)을 설치하려는 정보를 듣고 고려에서 거란의 황제에게 항의하는 내용이다.

위에서 말씀드린 거란의 황제가 직접 고려와 거란의 경계를 밝힌 1097년보다 9년 전인 1088년도에 고려선종이 밝힌 내용이다.

따라서 두 내용은 같은 대상을 표현한 것이라고 본다.

고려선종은 거란의 승천황태후(承天皇太后) 때 확정된 양국의 경계를 거란의 황제에게 다시 한 번 언급한다(審承天皇太后, 臨朝稱制, 賜履劃封).

당시 고려와 거란의 경계는 이 표문에 기재된

"천황학주(天皇鶴柱)의 성(城)으로부터 서쪽의 언덕까지 거두고 일자별교(日子鼈橋)의 물(水)로 한정하여 동쪽을 우리의 강토로 할애하였습니다(自天皇鶴柱之城, 西收彼岸, 限日子鼈橋之水, 東割我疆)."라는 문장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천황학주(天皇鶴柱)의 성(城)이란 요동(遼東)에 있는 성을 뜻한다.

요동(遼東)은 압록강(鴨綠江)보다 북쪽에 위치해 있으며 현재 중국 영토이다.

따라서 요동(遼東)에 있는 성이 고려와 거란의 경계에 포함되니 고려의 서쪽 경계는 압록강(鴨綠江) 전체를 뜻하는 것이 아니다.

아래는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권4 문종 9년에 대한 내용이다. (음력 1055년 7월)

 

고려시대 사료 DB

○秋七月. 都兵馬使奏, “契丹前太后皇帝詔, 賜鴨江以東, 爲我國封境. 然或置城橋, 或置弓口欄子, 漸踰舊限, 是謂不厭. 今, 又創立郵亭, 蠶食我疆. 魯史所謂, ‘無使滋蔓. 蔓難圖也.’ 宜送國書

db.history.go.kr

래는 위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권4 문종 9년의 내용 일부와 번역이다. 그대로 올린다. ( )안의 파란색 글씨는 내가 개인적으로 해설한 내용이다.

秋七月. 都兵馬使奏, “契丹前太后皇帝詔, 賜鴨江以東, 爲我國封境. 然或置城橋, 或置弓口欄子, 漸踰舊限, 是謂不厭. 今, 又創立郵亭, 蠶食我疆. 魯史所謂, ‘無使滋蔓. 蔓難圖也.’ 宜送國書於東京留守, 陳其不可, 若其不聽, 遣使奏告.” 於是, 致書東京留守曰, “當國襲箕子之國, 以鴨江爲疆. 矧前太后皇帝玉冊頒恩, 賜茅裂壤, 亦限其江. 頃者, 上國入我封界, 排置橋壘.
가을 7월. 도병마사(都兵馬使)에서 아뢰기를,
거란(契丹)의 전 태후와 황제가 조서를 내려 압록강(鴨江) 동쪽을 하사하고 우리나라의 봉경(封境)으로 삼았습니다.(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선 이 문장을 원문과 다르게 압록강이라고 번역했다. 하지만 이 문장의 원문은 압강[鴨江]이지 압록강이 아니다. 또한 고려사 세가에 기재된 내용들을 검토해 볼 때 압강은 압록강과는 다른 강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간혹 성교(城橋)를 설치하거나 궁구난자(弓口欄子)를 두어 점차 옛 한계선을 넘어왔으니, 이는 ‘아무리 해도 싫지 않다’고 일컫는 것입니다. 지금 또다시 우정(郵亭)을 세워 우리의 강역을 잠식하고 있습니다. 『노사(魯史)』에서는 이른바, ‘만연하게 하지 말라. 만연하면 도모하기 어렵다.’라고 하였습니다. 마땅히 동경유수(東京留守)에게 국서를 보내어 그 불가함을 진술하고, 만약 그가 듣지 않는다면 사신을 파견하여 아뢰어야만 합니다.”
라고 하였다. 이에 동경유수에게 서한을 보내어 이르기를,
본국은 기자(箕子)의 나라를 이어받아 압록강(鴨江)으로 경계를 삼았습니다. 하물며 전 태후와 황제도 옥책(玉冊)으로 은혜를 내려 봉토를 하사하여 땅을 나누고 또 압록강(其江 = 鴨江)으로 경계를 삼았습니다.(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선 이 문장 역시 원문과 다르게 압록강이라고 번역했다. 이 문장의 원문도 압강[鴨江]이지 압록강은 아니다. 또한 고려사 세가에 기재된 내용들을 검토해 볼 때 압강은 지금의 압록강 북쪽에 위치한 강으로 해석된다) 요사이 상국에서 우리 영토의 경계에 들어와서 다리와 보루를 설치하였습니다.

고려문종이 거란의 동경유수(東京留守)에게 항의를 하는 내용이다.

고려문종이 거란의 동경유수(東京留守)에게 보낸 서신을 보면,

"거란(契丹)의 전 태후와 황제가 조서를 내려 압록강(鴨江)동쪽을 하사하고 우리나라의 봉경(封境)으로 삼았습니다(都兵馬使奏, “契丹前太后皇帝詔, 賜鴨江以東, 爲我國封境)."

“본국은 기자(箕子)의 나라를 이어받아 압록강(鴨江)으로 경계를 삼았습니다(當國襲箕子之國, 以鴨江爲疆)."라고 발언 한다.

그런데 고려사 원문을 보면 위의 문장들은 모두 압록강(鴨渌江)이 아닌 압강(鴨江)으로 기재되어 있다.

즉,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번역은 원문과 다르다.

압록강(鴨渌江), 압록강(鴨綠江), 압강(鴨江)은 서로 다른 강이라고 이전에 올려드린 글에서 사료들을 근거로 말씀드렸었다.

따라서 고려문종과 거란 황제의 발언을 종합하면,

고려와 거란의 서쪽 경계는 서해에서 의주까진 압록강(鴨綠江)이며 의주에서 천황학주의 성(天皇鶴柱之城)까지의 국경선엔 압강(鴨江)이 포함된 것을 알 수 있다.

아래는 지금의 Aihe River(璦河 애하) 구글지도이다. 압록강(鴨綠江)의 지류이며 요동(遼東)에 위치한 것을 볼 수 있다. 북한 의주 위에 위치한 압록강(鴨綠江)에서 북쪽으로 올라가는 지류이다.

이 Aihe River(璦河 애하)가 바로 고려 때 압강(鴨江)이라고 본다.

이 Aihe River(璦河 애하)를 따라서 북쪽으로 지금의 요양시(辽阳市)를 향하면 요동(遼東)에 포함되고 요양시 근처로 추정되는 고려와 거란의 국경인 천황학주의 성(天皇鶴柱之城)이 있었다고 본다.

 

Aihe River · 중국 단둥 시

★★★★☆ · 강

www.google.co.kr

고려 때 압강(鴨江)으로 보이는 지금의 Aihe River(璦河 애하)아래로 흘러 압록강(鴨綠江)과 합류해서 서해로 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고려사에선 압강(鴨江)이 압록강(鴨綠江)과 합류해 서해로 나가는 지역은 압강(鴨江)과 압록강(鴨綠江)을 혼용해 '압강(鴨江)이 바다로 들어온다'로도 표기한다.

아래는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고려사(高麗史) 권 94(卷九十四) 열전(列傳) 제신(諸臣) 유소(柳韶)에 대한 내용이다.

 

고려시대 사료 DB

柳韶, 史失其世系. 顯宗朝, 歷司憲中丞·諫議大夫, 進累平章事. 二十年, 王命韶, 於興化鎭西北四十里, 修古石城, 置威遠鎭. 又修興化鎭北古石堡置定戎鎭, 徙永平民實之. 契丹東京將軍大延琳叛,

db.history.go.kr

래는 위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고려사(高麗史) 권 94(卷九十四) 열전(列傳) 제신(諸臣) 유소(柳韶)에 대한 원문과 번역 일부이다.

起自西海濱古國內城界鴨江入海處
서쪽 해변의 옛 국내성(國內城) 지역으로부터 압록강(鴨綠江)(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번역한내용은 고려사 원문과 다르다. 고려사 원문엔 압강[鴨江]으로 기재되어 있다)이 바다로 들어가는 곳에 세웠는데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원문의 압강(鴨江)과 달리 압록강(鴨綠江)으로 번역했다.

고려사 원문엔 "압강(鴨江)이 바다(서해)로 들어오는 곳(鴨江入海處)."으로 기재한다.

압강(鴨江)이 아래로 흘러 압록강(鴨綠江)과 합류해 서해로 들어오지만 쌍산자진노목타자령(双山子高丽盘道岭)에서 발원한 압강(鴨江)의 물이 남쪽으로 흘러 백두산에서 발원한 압록강(鴨綠江) 물과 합류해서 함께 서해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발원지를 기준으로 압강(鴨江)의 물과 압록강(鴨綠江)의 물은 서로 다르다.

따라서 고려사에선 '압강(鴨江)이 바다로 들어온다(鴨江入海處)'라고 표기했다.

아래는 백도백과에서 설명하는 璦河(애하 Aihe River)에 대한 설명이다.

 

爱河_百度百科

爱河位于辽宁省丹东市,是鸭绿江较大支流之一,也是辽宁省丹东市境内最大的一条河流。流域位于东经123°41′-124°45′,北纬40°10′-41°05′之间,东接蒲石河,南临鸭绿江,西与大洋河相邻,

baike.baidu.com

래는 위의 백도백과에 기재된 璦河(애하 Aihe River)의 본문과 번역 일부이다. 중국어를 하지 못하기 때문에 번역기와 내가 아는 한문으로 번역했다. 따라서 번역이 어색할 수 있다. 감안하시기 바란다.

....丹东鸭绿江支流
同义词 瑷河(鸭绿江水系支流)一般指爱河(丹东鸭绿江支流)
爱河位于辽宁省丹东市,是鸭绿江较大支流之一,也是辽宁省丹东市境内最大的一条河流。流域位于东经123°41′-124°45′,北纬40°10′-41°05′之间,东接蒲石河,南临鸭绿江,西与大洋河相邻,北以太子河分水岭为界。爱河发源于宽甸双山子镇老木垛子岭,流经宽甸县,凤城市和丹东市振安区,于九连城汇入鸭绿江。干流全长181.95公里,流域面积5902平方公里。.....
....단동 압록강 지류
동의어 애하(瑷河)(압록강 수계의 지류)는 일반적으로 애하(爱河)(단둥 압록강 지류)를 가리킨다. 애하(爱河)는 랴오닝성 단둥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압록강의 큰 지류 중 하나이자 랴오닝성 단둥시에서 가장 큰 강입니다. 분지는 동경 123°41′~124°45′, 북위 40°10′~41°05′에 위치하며 동쪽은 포석하(蒲石河), 남쪽은 압록강(鸭绿江)에 접해 있다. 서쪽에는 대양하(大洋河), 북쪽에는 태자하(太子河) 유역이 있다. 애하(愛河)는 관전시 쌍산자진노목타자령(双山子镇老木垛子岭)에서 발원하여 관전현 봉성시와 단둥시 전안구를 거쳐 구련시 압록강과 합류한다. 본류의 총 길이는 181.95km, 유역면적은 5902평방킬로미터이다.....

중국 백도백과를 보면 Aihe River(璦河 애하)의 발원지는 세 곳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 중에 대표적인 발원지는 双山子镇老木垛子岭(쌍산자진노목타자령)이며, 그 외에 쌍산자고려반도령(双山子高丽盘道岭), 봉성시애양진(凤城市爱阳镇)도 역시 Aihe River(璦河 애하)의 발원지이다.

내 개인적인 견해는 Aihe River(璦河 애하)는 고려 때의 압강(鴨江)이며 천황학주의 성(天皇鶴柱之城)은 Aihe River(璦河)와 압록강(鴨綠江)의 합류지점에서 요양시(辽阳市)로 향하는 요동(遼東)의 어딘가에 있다고 본다.

아래는 Aihe River(璦河 애하)의 발원지 중 하나인 双山子镇老木垛子岭(쌍산자진노목타자령)의 구글지도이다.

 

双山子镇老木垛子岭

 

www.google.co.kr

 

 

아래는 Aihe River(璦河 애하)의 발원지 중 하나인 쌍산자고려반도령(双山子高丽盘道岭)의 구글지도이다.

 

Shuangshanzizhen · 중국 랴오닝 성 단둥 시 콴뎬 만족 자치현 邮政编码: 118224

중국 랴오닝 성 단둥 시 콴뎬 만족 자치현 邮政编码: 118224

www.google.co.kr

 

 

아래는 Aihe River(璦河 애하)의 발원지 중 하나인 봉성시애양진(凤城市爱阳镇)의 구글지도이다.

 

Aiyangzhen · 중국 랴오닝 성 단둥 시 펑청 시 邮政编码: 118112

중국 랴오닝 성 단둥 시 펑청 시 邮政编码: 118112

www.google.co.kr

 

 

 

아래는 Caohe River(草河 초하)와 Aihe River(璦河 애하)합류지점을 나타낸 구글지도이다.

Caohe River(草河 초하)는 Aihe River(璦河 애하)의 지류이다.

Aihe River(璦河 애하)는 Caohe River(草河 초하)에서 끊기는 것이 아니라 북상해서 오른쪽으로 올라가면 Aihe River(璦河 애하)의 발원지가 등장한다.

 

Sunjia Weizi · 중국 랴오닝 성 단둥 시 펑청 시 邮政编码: 118109

중국 랴오닝 성 단둥 시 펑청 시 邮政编码: 118109

www.google.co.kr

 

 

아래는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1권, 총서 84번째기사의 내용이다.

 

조선왕조실록

〔○〕五月, 大軍渡鴨綠江, 次威化島, 亡卒絡繹於道。 禑命所在斬之, 不能止。 左、右軍都統使上言: "臣等乘桴過鴨江, 前有大川, 因雨水漲, 第一灘漂溺者數百, 第二灘益深, 留屯洲中, 徒費糧餉

sillok.history.go.kr

래는 위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1권, 총서 84번째기사의 원문과 번역이다.

五月, 大軍鴨綠江, 次威化島, 亡卒絡繹於道。 禑命所在斬之, 不能止。 左、右軍都統使上言:
"臣等乘桴鴨江, 前有大川, 因雨水漲, 第一灘漂溺者數百, 第二灘益深, 留屯洲中, 徒費糧餉。 自此至遼東城, 其間多有巨川, 似難利涉。
5월, 대군(大軍)이 압록강(鴨綠江)을 건너서(渡) 위화도(威化島)에 머무르니 도망하는 군사가 길에 끊이지 아니하므로, 우왕이 소재(所在)에서 목 베도록 명하였으나 능히 금지시키지 못하였다. 좌우군 도통사(左右軍都統使)가 상언(上言)하기를,
"신(臣) 등이 뗏목을 타고 압록강(鴨江)을 건넜으나(過), 앞에는 큰 냇물이 있는데 비로 인해 물이 넘쳐, 제1여울에 빠진 사람이 수백 명이나 되고, 제2여울은 더욱 깊어서 주중(洲中)에 머물어 둔치고 있으니 한갓 군량만 허비할 뿐입니다. 이곳으로부터 요동성(遼東城)에 이르기까지의 중간에는 큰 내가 많이 있으니 잘 건너기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위의 내용은 조선왕조실록의 내용이다.

고려사에 기록된 고려 말기의 사건을 다시 종합해서 언급하는 내용이다.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내용을 보면 압록강(鴨綠江) 압강(鴨江) 한 단원에서 함께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조선왕조실록의 원문을 보면,

첫 번째 문장에선 압록강(鴨綠江)으로 기재했고 두 번째 문장에선 압강(鴨江)으로 기재했다.

따라서 조선왕조실록에서도 압록강(鴨綠江)과 압강(鴨江)은 서로 다른 강으로 인식했고 서로 다른 강으로 표기한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선 조선왕조실록의 원문과 달리 압록강(鴨綠江) 압강(鴨江)을 구별하지 않고 모두 압록강으로 번역했다.

결국,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번역한 내용은 원문과 일치하지 않고 고려사에서 기록한 구체적 사실과도 일치하지 않는다.

아래는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고려사 지리지 내용이다.

 

고려시대 사료 DB

志 卷第十 축소 좁게 확대 열기 닫기

db.history.go.kr

래는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고려사 지리지 원문과 번역 일부이다.

西北, 自唐以來, 以鴨綠爲限, 而東北則以先春嶺爲界. 盖西北所至不及高句麗, 而東北過之. 今略據沿革之見於史策者, 作地理志.
서북은 당(唐) 이래로 압록(鴨綠)을 한계로 삼았고, 동북은 선춘령(先春嶺)을 경계로 삼았다. 무릇 서북은 그 이르는 곳이 고구려에 미치지 못했으나, 동북은 그것을 넘어섰다. 이제 대략 사책(史策)에 나타난 연혁에 근거하여 지리지(地理志)를 짓는다.

고려사 지리지는 조선 때 조선의 학자들이 기술한 내용이다.

그런데 조선의 학자들은 고려의 서북 영토를 당나라 이래로 압록강(鴨綠江)까지였다고 기술하고 있다.

이는 고려사에 기재된 고려와 후당 간의 책봉문서나 송나라 황제가 고려에게 보낸 서신의 내용과 다르다.

또한 위에서 밝힌 고려와 거란 간의 경계를 나타낸 고려사 내용과도 다르다.

즉, 조선의 학자들이 고려의 국경을 기록한 내용은 실제 역사적 사실이 아니라 조선의 정치적인 주장이라고 본다.

결국, 조선은 압록강(鴨綠江)까지만을 영토로 하겠다는 의사표시라고 본다.

따라서 내가 고려왕건의 후손으로 보는 청나라 황실이 압록강(鴨綠江) 북쪽을 기반으로 청나라를 세워 중국의 동북 지역을 장악하고 몽골의 세력들을 병합한 후 산해관을 통과한 것은 조선과는 상관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