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장권당랑권
- 마영도
- 소호연
- 황위철
- 마태복음
- 이소룡
- 대한쿵후협회
- 마스다 류지
- 이서문
- 북소림권
- 연청권
- 당수도
- 카를로 베르곤치
- 사권
- 벽괘장
- 알프레도 크라우스
- 누가복음
- 나광옥
- 담퇴
- 팔극권
- 유운초
- 태극당랑권
- 미종권
- 루치아노 파바로티
- 팔괘장
- 칠성당랑권
- 곽전각
- 쥬세페 디 스테파노
- 중앙국술관
- 정무체육회
- Today
- Total
濟世安民 bagtur khan
오랑캐3위(兀良哈三衛) 3 본문
아래는 중국유기백과에서 설명하는 오랑캐3위(兀良哈三衛 Wùliánghāsānwèi)에 대한 설명이다. 오랑캐3위(兀良哈三衛)는 타안3위(朵顏三衛)로도 칭한다.
아래는 위의 유기백과 내용 일부와 내가 번역한 내용이다. 중국어를 하지 못해 번역기와 내가 아는 한문으로 번역했다.
번역이 서투르다, 감안해주시기 바란다. ( )안의 파란색 글씨는 내가 개인적으로 해설한 내용이다.
元惠宗妥歡帖木兒汗被朱元璋從大都趕回到蒙古高原後,這一地區的蒙古各部落,為保衛自己的領地,防止明軍的進攻,進行了積極的防禦。 當時,木華黎後裔納哈出將軍統領20萬蒙古軍,駐紮在遼河以北的金山(今吉林省雙遼市境內)到龍安(今吉林省農安縣)、一圖河(今伊通河)、亦迷河(今飲馬河)一帶,成為上述蒙古各部的防禦屏障。 1387年(明洪武二十年),明朝派遣馮勝、傅友德和藍玉等率領20萬大軍繞道慶州(今內蒙古巴林右旗境內)包圍了納哈出軍隊駐地。納哈出被迫投降。 1388年蒙古大汗托古思帖木兒在捕魚兒海(今蒙古貝爾湖)被明藍玉的軍隊擊敗西走。這些重大的軍事失敗,使得大興安嶺以東的蒙古諸部落失去了防禦屏障,在明朝大軍壓境之下,只得歸附了明廷。 1389年(明洪武二十二年),明廷在這一地區設置了羈縻性質的朵顏、泰寧和福餘三衛。 朵顏衛在屈裂兒河(今內蒙古興安盟歸洮河)上游和朵顏山(今內蒙古扎賚特旗境內)一帶;泰寧衛在塔兒河(今洮兒河)流域,即元代泰寧路;福余衛在嫩江和福余河(今烏裕爾河)流域。 同時,明廷授封三衛首領以各級官職,進行籠絡和羈縻。 明廷封阿扎施里為泰寧衛指揮,塔賓帖木兒為指揮同知;海撒男答奚為福余指揮同知;托魯忽察爾為朵顏衛指揮同知。 明廷要求他們「各領其所部,以安畜牧」。 |
원나라 혜종 토곤테무르 칸이 주원장에 의해 원나라 수도 대도(大都)에서 몽골 고원으로 도피한 후, 이 지역의 몽골 부족은 영토를 방어하고 명나라 군대의 공격을 막기 위해 적극적인 방어를 수행했다.(이 지역의 몽골 부족이란 칭기즈칸 때 분봉지를 받은 칭기즈칸의 동생들과 조카, 측근 장수들과 함께 대흥안령 주변과 동쪽, 요양행성, 내몽골 지역으로 이주한 몽골 부족들을 말한다) 당시 무칼리(木華黎)의 후손인 나하추(納哈出) 장군은 요하 북쪽의 금산(지금의 길림성 쌍요시)에 주둔하고 있는 몽고군 20만 명을 지휘하여 용안(지금의 길림성 농안현)으로 향했다. 이도하(지금의 이통하)와 역미하(지금의 음마하)는 위에서 언급한 몽골 각부의 방어 장벽이 되었다. 1387년(명나라 홍무 20년), 명나라는 풍승, 부우덕, 남옥을 보내 20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나하추의 군대가 주둔하고 있는 경주(지금의 내몽골 파림우기 영역)를 포위했다. 나하추는 항복하게 된다. 1388년 몽골의 대칸 토구스 티무르는 월해(지금의 몽골 부이르 호수)에서 명나라 남옥의 군대에게 패하고 서쪽으로 도주했다. 이 중대한 군사적 패배로 대흥안령의 동쪽에 거주하던 몽골 부족들은 방어 장벽을 잃고 명나라 군대의 압력으로 명나라 조정에 항복해야 했다. 1389년(명나라 홍무 22년), 명나라 조정은 이 지역에 타안(朵顏), 태녕(泰寧), 복여(福餘) 3위(三衛)를 세웠다. 타안위는 굴열아하(현재 내몽고 흥안맹귀도하)상류와 타안산(오늘날 내몽고 찰뢰특기 경내) 일대에 위치하고 태녕위는 탑아하(현재 도아하) 유역에 있었다, 즉 원나라 때 태녕로(泰寧路)이다; 복여위는 눈강 및 복여하(현재 오유이하) 유역에 있다. 동시에 명나라 조정은 삼위의 지도자들에게 각각의 급에 맞는 관직을 부여했고, 그들을 교묘히 다루며 기미(중국에서 속국이나 번국을 지배하던 형태이다)했다. 명나라 조정은 아차시리(阿扎施里)를 태녕위지휘(泰寧衛指揮)로, 타빈테무르(塔賓帖木兒)를 지휘동지(指揮同知)로; 카이산난다시(海撒男答奚)를 복여지휘동지(福余指揮同知)로; 터러쿠차르(托魯忽察爾)를 타안위지휘동지(朵顏衛指揮同知)로임명했다. 명나라 조정은 그들에게 "각 수령들은 자신의 부에서 유목생활을 안정시켜라"고 요구했다. |
오랑캐3위는 칭기즈칸에게 분봉지를 받은 칭기즈칸의 동생들과 조카 그리고 측근의 후예들이 명나라가 등장한 후 명나라에게 투항하면서 명나라에 의해 설립된 행정구역이라고 말씀드렸다.
원나라 말기가 되면 이들이 거주하던 지금의 내몽골 동쪽 지역과 대흥안령 동쪽 지역 그리고 지금의 동북3성 지역은 원나라의 영향력이 제대로 미치지 못하는 지역이 되었고 따라서 이들은 원나라와 느슨한 종속관계를 유지하며 독자적인 세력으로 활동하고 있었다.
그리고 원나라 혜종 토곤테무르 칸이 주원장의 명나라에 밀려 몽골로 다시 되돌아가서 북원 정권이 된 후 북원과 명나라는 서로 이들을 자신의 세력으로 포섭하려고 했다.
이들 중에 칭기즈칸의 측근이었던 무칼리(木華黎)의 후손인 나하추(納哈出) 역시 북원과 명나라 사이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는데 나하추의 영역은 원나라 때의 요양행성 지역이었다.
북원과 명나라가 서로 대치하던 당시 나하추는 20만 병력을 거느리고 요하 이북의 금산(길림성 쌍요시 吉林省雙遼市)에서 용안(길림성 농안현 吉林省農安縣), 일독하(이통하 伊通河),역미하(음마하 飲馬河) 일대에 이르는 방어선을 만들어 명나라의 공격을 방어하고 있었다.
나하추(納哈出)가 방어선을 형성한 각 지역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아래는 길림성 쌍요시(吉林省雙遼市)의 구글지도이다.
아래는 길림성 농안현(吉林省農安縣)의 구글지도이다.
아래는 장춘시 농안현 이통하(伊通河)의 구글지도이다.
아래는 장춘시 구태구 음마하(飲馬河) 구글지도이다.
하지만 1387년 명나라의 풍승(馮勝), 부우덕(傅友德), 남옥(藍玉) 등이 이끈 명나라 20만 대군이 경주를 돌아 나하추(納哈出)를 포위했고 나하추(納哈出)는 결국 명나라에게 전투도 하지 못하고 투항한다.
아래는 그때 경주인 지금의 내몽골 파림우기(巴林右旗)의 구글지도이다.
나하추가 명나라에 투항하고 1388년 남옥(藍玉)이 부대가 부이르 호수에서 북원의 대칸인 투구스테무르에게 큰 승리를 거두자 북원과 명나라 사이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하던 내몽골 동쪽과 대흥안령 동쪽 그리고 지금의 동북삼성의 세력들은 대부분 명나라에게 투항한다.
그리고 명나라는 이들에게 이전과 같이 독자적인 활동을 보장하고 그 지역에서 원나라 때와 같은 지위를 누리게 하는 대신에 명나라의 행정구역으로 명목상 포함시킨다.
이렇게 해서 1389년에 설치된 명나라 행정구역이 타안위(朵顏衛), 태녕위(泰寧衛), 복여위(福余衛)이다.
그리고 명나라는 원래 이 지역의 실권자들인 아차시리(阿扎施里)를 태녕위지휘(泰寧衛指揮)로,
타빈테무르(塔賓帖木兒)를 지휘동지(指揮同知)로, 카이산난다시(海撒男答奚)를 복여지휘동지(福余指揮同知)로, 터러쿠차르(托魯忽察爾)를 타안위지휘동지(朵顏衛指揮同知)로 임명했다.
이들이 위치한 곳은 아래와 같다.
타안위(朵顏衛)가 있다는 지금의 내몽골 흥안맹귀도하(興安盟歸洮河)는 구글지도에서 정확히 찾지를 못한다. 귀도하(歸洮河)의 위치가 검색이 않된다. 아래는 내몽골 흥안맹(興安盟)의 구글지도이다.
역시 타안위(朵顏衛)가 있었다는 지금의 내몽골 찰뢰특기(扎賚特旗) 지역이다. 위의 흥안맹(興安盟) 지역과 이 지역 일대가 타안위(朵顏衛)의 초기 거주지이다.
아래는 태녕위(泰寧衛)가 있었다는 중국 백성시 도아하(洮兒河) 구글지도이다. 오랑캐3위 2에서 올려드린 송원시 서쪽지역 보다는 조금 더 위에 태녕위(泰寧衛)가 있었던 것으로 중국유기백과에서는 보고 있다.
아래는 복여위(福余衛)가 있었다는 눈강 구글지도이다. 눈강의 어느 근처에 있었는지는 모른다. 다만 중국유기백과에선 눈강과 복여하(福余河) 근처라고 하니 복여하(福余河)와 가까운 눈강현이 아닐까 개인적으로 보고 있다.
아래는 복여위(福余衛)가 있었다는 복여하(福余河)의 구글지도이다. 이 구글지도에선 복여하(福余河)를 오유니하(乌裕尔河)라고 표기했다.
위의 세력들을 명나라에선 타안3위(朵顏三衛) 내지는 오랑캐3위(兀良哈三衛 Wùliánghāsānwèi)라고 부른다.
하지만 이러한 명나라와 오랑캐3위(兀良哈三衛)의 임시적인 평화관계는 명나라에서 정난의 변(靖難之變)이 일어난 후 깨지게 된다.
즉, 명나라와 오랑캐3위(兀良哈三衛)는 서로 충돌하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오랑캐3위(兀良哈三衛)의 거주지도 달라지게 된다.
위에서 언급한 오랑캐3위(兀良哈三衛)가 점점 남하하면서 명나라나 후에 등장하는 누르하치 세력과 서로 멀지 않은 곳에 거주하게 된다.
'누르하치의 만주구룬 등장 전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진족의 기원과 근거지 1 (2) | 2024.04.26 |
---|---|
복여위, 부여국, 고리국, 동명왕 (0) | 2023.06.07 |
오랑캐3위(兀良哈三衛) 2 (수정된 내용) (4) | 2023.05.26 |
오랑캐3위(兀良哈三衛) 1 (2) | 2023.05.19 |
맹가첩목아의 고려(高麗) 이주 3 (수정된 내용) (2) | 2023.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