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마영도
- 쥬세페 디 스테파노
- 연청권
- 황위철
- 정무체육회
- 당수도
- 나광옥
- 소호연
- 사권
- 마스다 류지
- 카를로 베르곤치
- 대한쿵후협회
- 담퇴
- 팔괘장
- 루치아노 파바로티
- 칠성당랑권
- 중앙국술관
- 알프레도 크라우스
- 마태복음
- 유운초
- 누가복음
- 벽괘장
- 장권당랑권
- 이소룡
- 미종권
- 태극당랑권
- 팔극권
- 북소림권
- 이서문
- 곽전각
- Today
- Total
濟世安民 bagtur khan
당태종(Tengri Qaghan)과 철륵(鐵勒) 본문
아래는 天可汗(천가한 Tengri Qaghan)에 대한 중국유기백과 내용이다.
아래는 위의 天可汗(천가한 Tengri Qaghan)에 대한 중국유기백과 내용의 일부와 번역이다. 중국어를 하지 못해 번역기와 한문 실력으로 번역했다. 번역이 서투르다. 감안해주시기 바란다. ( )안의 파란색 글씨는 내가 개인적으로 해설한 내용이다.
天可汗(古突厥文:𐱅𐰭𐰼𐰃𐰴𐰍𐰣,拉丁轉寫:Tengri Qaghan),又譯為天至尊、
登里可汗、登利可汗、騰格里汗,可汗的尊稱之一。
..........................
其地位在游牧民族當中比隋文帝的聖人可汗還高,「天」(Tengri,騰格里)在突厥語裡具有很高尚、有權力的含義,
其後九姓鐵勒、西域諸國國王、吐火羅葉護也稱 唐太宗為「天可汗」,在安史之亂後唐肅宗也被回紇人稱為「天可汗」。
|
天可汗 (고대 투르크어: 𐱅𐰭𐰼𐰃𐰴𐰍𐰣, 라틴어 음역: Tengri Qaghan), 중국어로는 天至尊(천지존, 하늘의 최고 존귀한 존재)이라는 뜻이며,
투르크 발음 Tengri Qaghan을 중국인들이 들리는 대로 한자로 표기하면 登里可汗(등리가한 Dengli Khan), 登利可汗(등리가한 Dengli Khan), 騰格里汗(등격리한 ténggélĭ Khan)으로 한자 표기된다.
투르크인들의 Qaghan(可汗) 칭호 중 하나이다.
..............................................
유목민들 사이에서 그의 지위는 隋文帝(수나라 문제)의 聖人可汗(성인카간) 보다 높다. (정확한 명칭은 '대수성인막연가한[大隋聖人莫緣可汗]'이다.)
투르크어로 'Tengri'(한문으로 음차표기하면 騰格里[ténggélĭ]이고 중국어로 번역하면 天[하늘]이라는 뜻이다)는 매우 고상하다는 뜻이면서 권력의 소유도 함의한다,
그 후 아홉 성씨들로 구성된 鐵勒(철륵)부족들, 서역(지금의 신장위구르와 그 주변 지역)의 국왕,
토하라(아프카니스탄)의 야브구(야브구는 투르크에서 카간 다음의 제2인자 직위이며, 카간이 직접 통치하는 지역 외의 지역을 다스린다. 주로 카간의 형제나 아들이 야브구를 역임한다.)는 당태종(唐太宗)을 Tengri Qaghan (天可汗)이라고도 불렀다.
'안록산 사사명의 난(安史之亂)' 이후 당나라 숙종(唐肅宗)은 위구르(回紇) 사람들에 Tengri Qaghan (天可汗)으로 불렸다.
|
위의 내용은 당태종(唐太宗)을 Tengri Qaghan (天可汗)으로 철륵(鐵勒)인들이 옹립한 내용이다.
위의 중국유기백과 설명을 보면,
唐太宗(당나라 태종) 이세민(李世民)이 철륵(鐵勒)인들에게 Tengri Qaghan (天可汗)으로 추대 받기 이전,
돌궐제국(The Göktürks)과 隋(수나라)가 공존하던 시기에 돌궐1제국(The Göktürks)의 啓民可汗(계민가한)이 隋文帝(수나라 문제)에게 聖人可汗(성인카간)이라는可汗(카간)의 位(위)를 수여한 사실을 언급하고 있다. (정확한 명칭은 '대수성인막연가한[大隋聖人莫緣可汗]'이다.)
돌궐1제국(The Göktürks)의 국력이 강해 돌궐1제국(The Göktürks)에서 수나라 문제(隋文帝)에게 돌궐1제국(The Göktürks)과 수나라(隋)를 동급으로 보고 외교적인 예우로 Qaghan(可汗) 칭호를 수여한 것으로 보인다. (학자에 따라선 돌궐1제국이 수나라 보다 더 위로 본 후 돌궐1제국이 수나라 황제 수문제에게 대수성인막연가한[大隋聖人莫緣可汗]이라는 Qaghan[可汗] 칭호를 수여한 것으로 해석한다)
아래는 두산백과에서 설명하는 啓民可汗(계민가한)에 대한 내용이다.
아래는 위의 두산백과에서 설명하는 啓民可汗(계민가한)에 대한 내용 중 일부이다.
최초로 돌리가한이라 불렸다.
6세기 말에 돌궐은 대가한(大可汗)인 도람(都藍) 이외에 서쪽으로 달두가한(達頭), 북쪽으로 돌리(突利)의 두 가한이 있어서 대립하였다.
수(隋)나라는 이들을 이간시키기 위하여 돌리에 공주를 강혼(降婚)시키고 남쪽으로 옮겨 계민가한의 칭호를 내려 오르도스 내부에 유목지를 주었다.
도람가한이 부하에게 살해되자(599), 달두는 독립하여 북쪽 변경으로 침입하였다.
그러나 계민이 수나라 군대와 함께 이를 치자, 달두는 토욕혼(吐谷渾)으로 도망하였고(603), 그 민중은 계민에게 항복하였다.
계민은 고비사막의 남방에 거주하며 몽골고원의 족속들을 지배하였다.
|
위의 내용을 보면 수나라 문제(隋文帝)가 隋(수나라) 종실의 공주를 강혼시켰다고 기재하고 있는데
사실 수나라가 돌궐보다 위의 입장에서 종실 공주를 돌궐의 돌리 가한에게 시집을 보낸 것인지 아니면 그 반대로 돌궐이 위의 입장에서 수나라의 공주를 요구한 것인지 좀 더 확인해 봐야 한다.
위의 내용을 가치판단 없이 사실 관계를 설명하면,
隋文帝(수문제)의 宗女(종녀, 대략 조카딸로 해석된다)인 안의공주(安義公主)가 돌리(계민가한)에게 시집을 갔다.
이와 같이 수나라(隋)나 당나라(唐) 황실의 공주가 튀르크족 계열인 괵투르크의 카간이나 철륵의 계필부족 지도자, 위구르부족의 카간에게 시집을 가는 모습을 보게 된다.
토번(지금의 티벹)의 송첸감포에게 당나라의 문성공주가 시집을 간 내용은 이미 이전에 올려드렸었다.
아래는 Khan of Heaven(天可汗 Tengri Qaghan)에 대한 위키페디아 내용이다.
아래는 위의 Khan of Heaven(天可汗 Tengri Qaghan)에 대한 위키페디아 내용 중 일부와 번역이다.
영어실력이 좋지 않아 번역이 서투르다. 감안해주시기 바란다. ( )안의 파란색 글씨는 내가 개인적으로 해설한 내용이다.
Khan of Heaven or Tian Kehan, Celestial Kha(ga)n, Heavenly Kha(ga)n, Tengri Kha(ga)n (Chinese: 天可汗; pinyin: Tiān Kèhán; Wade–Giles: T'ien K'ehan; Old Turkic: 𐱅𐰭𐰼𐰃𐰴𐰍𐰣) was a title addressed to the Emperor Taizong of Tang by various Turkic nomads.
It was first mentioned in accounts on May 20, 630 and again on October 24, 646, shortly after the Eastern Turkic Khaganate and Xueyantuo were annihilated by the Tang dynasty.
The title Tengri Khagan also used to refer other Turkic rulers, both known as the Tengri Khagan (Chinese: 登里可汗 or 登利可汗) or Täŋridä qaγan (Chinese: 騰里可汗) to the Chinese,
during the Second Eastern Turkic Khaganate (739–741) and Uyghur Khaganate (759–779) periods.
It is uncertain whether the title also applied to the rest of the Tang emperors, or to the Wu Zhou empress regnant Wu Zetian, since the term "Khagan" only referred to male rulers and Empress Wu had started her dominion in the Chinese court after the year AD 665 until the year AD 705, which is after the title's first use by a Chinese emperor.
However, two appeal letters from the Turkic hybrid rulers, Ashina Qutluγ Ton Tardu in 727, the Yabgu of Tokharistan, and Yina Tudun Qule in 741, he king of Tashkent, addressed the Emperor Xuanzong of Tang as Tian Kehan during the Umayyad expansion.
A later letter sent by the Tang court to the Yenisei Kirghiz Qaghan explained that "the peoples of the northwest" had requested Emperor Taizong of Tang to become the "Heavenly Qaghan".
|
Khan of Heaven 또는 Tian Kehan, Celestial Kha(ga)n, Heavenly Kha(ga)n, Tengri Kha(ga)n
(중국어: 天可汗; 병음: Tiān Kèhán; Wade–Giles: T'ien K'ehan; 고대 투르크어: 𐱅𐰭𐰼𐰃𐰴𐰍𐰣)는 다양한 튀르크(정확히는 돌궐1제국[The Göktürks]의 피지배 계층이었던 철륵[Töläch or Töliš or Türk]인이다 )인들이 당태종(이세민)에게 바친 칭호이다.
그것(철륵인들이 당태종 이세민에게 탱그리 카간을 바친 사건)은 630년 5월 20일 기록에서 처음 언급되었고 646년 10월 24일에 다시 언급되었는데,이는 동돌궐과 설연타가 당나라에 의해 전멸된 직후였다. (돌궐1제국은 철륵인들을 피지배인들로 부리고 있었는데, 당태종 이세민은
철륵인들을 자신의 세력으로 둔 후 동돌궐제국을 멸망시켰다. 그리고 철륵 부족 중 설연타 부족이 반란을 일으켰지만 다른 철륵인들과 함께 설연타의 반란을 진압했다)
다른 튀르크인 통치자들 중에도 Tengri Khagan(텡그리 카간)이라는 칭호를 사용한 적이 있었다. (당나라 태종 이세민 외에 튀르크족들도 이 칭호를 사용한 적은 있었다)
둘 다 Tengri Khagan(중국어: 登里可汗 또는 登利可汗) 또는 Täŋridä qaγan(중국어: 騰里可汗)으로 알려져 있으며, 돌궐 2제국 (739–741)과 위구르 제국(759–779) 시대에 (특정 인물이) 이 칭호로 활동했다고 중국(당나라)에 알려졌다.
Tengri Khagan이라는 칭호가 (당태종) 이후로 나머지 당나라 황제들에게도 적용되었는지, 그리고 무주(武周)의 측천무후(則天后)에게도 적용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이 Khagan이라는 칭호는 남성 통치자만을 지칭하며(여성은 카툰[가돈]이라 칭한다) 측천무후(則天后)는 당나라 황제가 이 이 칭호를 사용한 이후인 서기 665년부터 서기 705년까지 중국 조정에서 실질적인 권세와 황제로서의 권력을 행사했다.
그러나 727년 튀르크계 혼혈 통치자 아시나 쿠틀룩 톤 타르두, 토하리스탄의 야브구, 741년 타슈켄트 왕 이나 투둔 쿠레의 두 항소 편지는 우마이야 확장 기간 동안(이슬람의 우마이야 왕조의 주변 정복 및 팽창시기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당나라 황제 현종을 Tengri Qaghan(천가한 = 天可汗 = 탱그리카간)이라고 칭했다.
후에 당나라 조정이 예니세이 키르키즈 Qaghan에게 보낸 편지에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북서부의 사람들(철륵인들)이 당태종에게 Heavenly Qaghan(Tengri Qaghan = 천가한 = 天可汗)이 될 것을 요청했다.'
|
위키페디아에선 Khan of Heaven이라고 번역하는데 튀르크 발음으론 Tengri Kha(ga)n이다.
돌궐1제국의 피지배층인 철륵 부족의 지도자들이 당태종 이세민에게 바친 존호이다.
당태종 이세민은 두 번에 걸쳐 이 존호를 철륵 부족의 지도자들에게 받았다.
첫 번째는 630년 당태종이 철륵인들과 함께 동돌궐을 멸망시켰을 때이고,
두 번째는 646년 철륵 15개 부족 중 하나인 설연타가 봉기를 일으키고 이러한 설연타의 반란을 다른 철륵(Töläch or Töliš or Türk) 부족들과 제압했을 때 다시 한 번 철륵의 지도자들에게 Tengri Kha(ga)n 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이 당시는 당나라가 고구려와의 제1차 전쟁[644~645년] 이후이다)
Tengri는 흉노와 돌궐, 철륵인들의 최고의 신인 하늘(天)을 뜻한다.
따라서 Tengri Kha(ga)n이란 天可汗이라는 의미이고 여러 왕들을 다스리는 황제가 있듯이 여러 Khagan들을 다스리는 'Khagan중의 Khagan'이라는 의미이다.
위의 중국 유기백과와 위키페디아에선,
당태종 이세민의 Tengri Kha(ga)n의 직위가 바로 그 후손들인 당나라 황제들에게도 승계가 되는 가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당나라 역사에서 잠깐 무측천(武則天)이 여성황제가 되고 국호도 주나라(周, 武周)로 바꾼적이 있는데,
투르크에서 지도자는 남성이었고 호칭은 Khagan이나 Khan으로 하였다.
그리고 그 Kha(ga)n의 부인은 Qatun(可賀敦[가하돈] or 可敦[가돈])으로 칭했다.
Tengri Kha(ga)n 명칭 자체가 남성을 지칭하는 Kha(ga)n이니 여성인 무측천(武則天)은 황제라고 하지만 여성이었고,
철륵인들이 Tengri Qatun(天可賀敦 or 天可敦)이라는 명칭을 만들었거나 철륵인들이 여성 지도자를 추대한 적은 없기 때문에,
무측천(武則天)이 Tengri Kha(ga)n(天可汗)해당되는지 확실치 않다고 위키페디아에선 설명하고 있다.
그 외에 당태종 이세민의 후손으로서,
당나라 현종과 당나라 숙종이 Tengri Kha(ga)n이라는 존호로 불렸다고 위키페디아와 중국유기백과에선 설명하고 있다.
'철륵, 돌궐 그리고 튀르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구르(回鶻), Falcon, Hawk, Eagle (0) | 2023.04.06 |
---|---|
당태종(唐太宗)과 위구르(回紇) (0) | 2023.03.31 |
돌궐(突厥), 철륵(鐵勒), 튀르크(Türk) (0) | 2023.03.17 |
실재 오랑캐와 오랑캐 夷(이) (0) | 2023.03.10 |